여성질환클리닉

THE PRIME HOSPITAL

  • HOME

자궁경부염

자궁경부란 자궁의 입구를 말하며 자궁이 질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다. 자궁경부를 덮고 있는 것은 두 가지 종류의 세포인데, 하나는 피부처럼 매끄럽고 분홍빛을 띠며 자궁경부를 덮고 있는 편평상피세포이고 다른 하나는 자궁내경관에서 유래한 원주상피세포로 육안으로 볼 때 오돌토돌하며 붉은색을 띠고 분비물을 생성하는 세포이다. 상피세포의 종류에 따라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균이 달라진다.

편평상피세포로 이루어진 자궁외경관(ectocervix)은 질에 염증을 일으키는 트리코모나스원충(trichomonas), 칸디다균(candida),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 등에 의해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이나 클라미디아균(Chlamydia trachomatis)은 분비 기능이 활발한 원주상피세포로 이루어진 궁내경관(endoecervix)에만 감염을 일으킨다.
이러한 임균 혹은 클라미디아균에 의해 자궁내경관에 염증이 생겨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띠는 점액화농성 분비물이 분비되는 것을 자궁경부염이라고 한다.

증상 전형적인 증상은 뮤코퍼스(mucopus)라고 불리는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띠는 점액화농성 분비물이 자궁내경관에서 분비되어 나오는 것이다.
진단 외래에서 자궁내경관 분비물을 채취해서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면봉으로 자궁내경관에서 분비물을 채취해서 점액화농성 분비물이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띠는지 확인한다. 자궁내경관의 표면은 매우 취약하여 접촉성 출혈이 흔히 발생한다. 채취한 질 분비물을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염증세포(백혈구)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염색을 한 후 관찰했을 때 그람 음성 쌍구균(gram-negative diplococci)이 보이면 임균 감염에 의한 자궁경부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쌍구균이 관찰되지 않으면 클라미디아균에 의한 자궁경부염으로 진단한다. 그러나 50%에서는 임균이나 클라미디아균이 아닌 다른 알 수 없는 세균에 의해 자궁경부염이 발생한다. 정확하게 임균 혹은 클라미디아균에 감염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PCR(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 등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질염

여성이 산부인과에 내원하는 가장 흔한 증상이 냉 또는 대하증이다. 정상적인 질의 분비물은 흰색이며 냄새가 나지 않고 가렵거나 따가운 증상이 없다. 월경에 따른 질 분비물의 변화는 월경 후기 동안에는 우유같고 때로는 작고 하얀 덩어리같은 물질이 있는 분비물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배란기 때는 자궁 경부의 끈끈한 점액성분이 분비물로 많이 나오므로 점액의 양상을 띠게 된다. 비정상적인 즉 병적인 대하는 대부분이 질염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균으로는 세균성 질염, 칸디다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빈번한 질세척, 의류나 그외의 화학물질로 인한 과민반응, 질내 이물질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사춘기 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질벽의 상피 조직이 얇아져 있어 여러 균에 의해 쉽게 감염될 수 있다. 임상적으로는 문진, 산부인과적 진찰, 냉검사 등을 실시하며 그 원인을 감별, 진단한다.

진단 결과에 따라 항생제, 항진균제, 여성호르몬제 등으로 치료한다. 대개 질염이 있을 때는 대하증과 더불어 외음부에 가려움이 있는데 특히 소변 볼 때 심한 통증이 있다. 그러므로 방광염 증상이 있을 때는 질염치료도 같이 해야 한다.